본문 바로가기

일상&취미(Life&Interest)

웰빙 라이프를 위한 의학 상식, 뇌 관련 질환(뇌졸중 위주) 공부한 후기

728x90
반응형

처음 들었던 강의를 다시 복습하게되었다
신기하게도 들었던기억이 난다^^
사람은 망각의 동물이라고,, 기억을 거의 상실했지만 몇몇이 남아 있어 다행이었다

1. 흔히 중풍이라고 불리는 병은 뇌졸증이 아니라 뇌졸중이다.



o

뇌졸중o

졸중은 '무엇에 얻어 맞아 나가떨어진 상태'라는 뜻이다

졸증은 잘못된 말이라고 한다


2. 뇌도 혈액을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는다




O
우리몸의 다른부분과 마찬가지로 뇌도 산소와 영양분이 있어야 한다.

이런 양식을 운반해 주는 것이 바로 피 혈액이다.


3. 양성뇌종양은 악성뇌종양과 달리 안심해도 된다.


x

무척 예민하고 뇌에 생기는 양성 종양도 위험하다.

 

1. 뇌졸중(중풍)/일과성뇌허혈

2. 치매/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 무도병

3. 뇌종양/낭종 육아종, 혈종, 뇌농양, 혈관기형

4. 중추신경 장애
순서로 배우는데 오늘은 1번 까지만 복습할것

 

뇌혈관 질환은 우리나라 국민의 주요 사망원인 중에
2위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병이다.

 

1. 뇌졸중

60대 이상의 고령자에게 흔히 나타나던 뇌졸중은 요즘들어서 40~50대에서도 발병율이 높아지고있습니다. 

심지어 젊은 여성에게도 발병하고있다
국내 뇌졸증으로 인한 사망률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나 10만명당 30명으로 높은편이며 암에이어 
2번째라는거 알고 계세요? 

뇌혈관질환이 왜생기는지 살펴볼까요? 

 

 

원인

과음, 흡연, 짜게먹는 습관과 육식위주의 식사, 고혈압!
뇌졸중을 유발하는 습관이랍니다…

특히 고혈압은 그냥 방치해서는 절대 안되는데…
고혈압이 있다는 것 자체가 예비뇌졸중 환자라 할
수 있는 것!
당뇨나 고지혈증, 동맥경화를 앓고 있는 분들도 위험하니까 예방을 철저하게 해야 한답니다

 

 

증상

갑자기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했던 심한 두통
나고, 구토와 의식장애가 일어나기도 하고
말입니다…


그럼 몸의 한쪽 감각이 사라지고 마비증세가 오는거랑, 말을 아예 못하거나 제대로 하지 못하는 언어장애를 보이는 것도 뇌졸중의 증상인가요?

그것 외에도 갑작스럽게 시력이 떨어지고
어지럼증을 보이기도 하죠…

뇌혈관질환의 증상들은 점차 진행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전에 증상이 전혀 없었거나, 뚜렷하지
않아서 환자나 가족들이 무시하고 지내던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니까 뇌졸중의 중요 증상은 꼭 알고 있다가
조금이라도 이상하면 바로 병원에 가야 합니다

 

뇌졸중

 

 

뇌졸중뇌에 혈액공급이 되지 않아서
뇌신경이 죽고, 그 부위가 정상기능을 할 수 없는
상황을 말하는 거랍니다


뇌혈관을 따라서 피가 잘~ 흘러가야 되는데,
혈관이 좁아지다가 막히거나, 파열되면
그림처럼 피가 가야 할 곳에 못 가게 되겠죠

뇌는 영양분이 부족하게 되잖아요

 

뇌경색

 

 

 경색은 더 심각한 문제가 됩니다 … 
혈관이 완전히 막혀서 피가 통하지 못하는 게 경색이라는 건데요 

… 도로에 낙석이 떨어져서 꽉 막고 있으면 차가 움직이지 못하는 것처럼 , 혈관이 막혀서 , 혈액이 지나갈 수 없게 되는 거죠 

 

 

그럼 혈관이 막히는 이유를 한번 알아볼까요 ? 
혈관이 막히는 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는데 , 우선 동맥경화라는 병이 있어요 … 굳은 피덩어리인 
혈전이나 지방이 쌓여서 혈관이 좁아져 결국 혈관을 막게 되는 겁니다 … 또 색전이라는 현상때문에 혈관이 막히기도 한답니다 

색전이라는 건 … 혈전이 심장이나 목의 큰 혈관에서 생긴 후에 떨어져 나와서 혈액의 흐름을 방해하는 겁니다 

 

 

뇌경색이 뇌혈관 질환의 약 70% 나 차지한다

뇌경색은 어디에서 , 어떤 혈관이 막혔느냐에 따라 증상과 위험도의 차이가 있지만 , 뇌는 다른 조직과는 다르게 뇌세포가 한 번 죽으면 다시 살아나지 않기 때문에 뇌경색은 아주 위험하죠 

 

 

뇌출혈

 

 

뇌출혈은 탄력이 떨어진 혈관이 혈압이 오르면서 파열되는 현상인데요 … 고혈압과 관계가 깊답니다

정상적으로 피가 흐르지 못하니까 , 혈관벽에는 상처가 나기 쉽고 , 상처가 난 혈관은 약해지면서 파열되겠지 ? 그래서 고혈압이 위험한 거죠 

 

뇌출혈이 생기면 혈관 밖으로 나온 피들은 어떻게 되나요 ?

혈관 밖으로 나온 피는 한 곳에 고여서 혹 처럼 모여있는데 … 이걸 혈종이라고 부른답니다 . 혈종은 뇌의 어느 부위에 , 얼마나 크게 생겼느냐에따라서 다른 증상을 보입니다 … 

 

 

거미막하출혈도 뇌출혈이랍니다 . 거미막 , “ 하 ” , 즉 , 거미막 아래에서 출혈이 생긴 걸 말하는 건데 … 자 , 그림에 표시된 곳을 확대해서 볼까요 ?

 

 

자 .. 잘 들어보세요 …

뇌와 척수를 감싸는 뇌수막은 3 겹으로 이루어져 있단다 … 경막 , 지주막 , 연막인데 … . 이 셋 중에 지주막을 거미막 이라고도 부른답니다 … 거미줄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을 갖게 된 거죠 ...

 

 

 거미막과 뇌 사이의 공간에는 커다란 혈관들이 지나가는데 … 여기서 발생한 출혈을 거미막하출혈 또는 지주막하출혈이라고 하는 거랍니다 … . 

증상

거미막하 출혈이 생기면 대부분의 경우 마비증상 보다는 두통과 의식장애가 오게 되죠 

 

 

 

일과성 뇌허혈

막혔던 혈관이 정말 운 좋게도 저절로 뚫리는 경우가 있답니다 . 이걸 일과성 뇌허혈이라고 부르는데 

일과성 뇌허혈은 보통 30 분에서 몇시간까지 뇌졸중의 증상이 나타나다가 사라진답니다 

일과성 뇌허혈은요 뇌졸중의 예비신호라고 하네

일과성 뇌허혈을 경험한 사람은 항상 건강에 유의해야 하겠죠

 
주의할점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에 정기적인 검진을 받아서 뇌졸중의 위험인지를 빨리 하여 치료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진단 : 찾아가야 할 곳은 신경과 전문의

 

신경과와 신경외과의 차이

신경계에서 발생되는 모든 질환은 신경과의 영역에 속하나 그 중 내과적인 치료의 경우는 신경과에서 하며, 외과적인 수술이 필요할 경우는 신경외과의 
영역에 속합니다

즉 일반적으로 신경과는 약물치료를 주로 하는 내과계열의 의학분야이며, 신경외과는 수술을 하는 외과계열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부분의 신경계질환은 약물치료를 필요로 하며, 신경계의 질환의 경우는 특히 정확한 진단을 필요로 하며, 진단을 위해서는 아주 다양한 검사가 선행되어야 하며, 수술여부를 정확히 판단하여야 하므로 신경과 진료가 항상 우선되어야 합니다.

 

검사 : 신경과 의사는 환자의 병력을 듣고 신경학적 진찰을 한 후, 뇌컴퓨터 촬영검사(CT, MRI, PET, SPECT 등)와 도플러 검사 등을 시행하여 뇌졸중의 종류, 크기, 위치를 판단한다.

거미막하(지주막하)출혈인 경우에는 뇌동맥류나 뇌혈관 기형을 찾아내기 위하여 뇌혈관 조영술을 시행해야 한다.

 

가장기본적으로 받는 검사 전산화 단층촬영(CT) 혹은 자기공명촬영(MRI)검사

전산화 단층촬영(CT)

뇌를 여러각도에서 X선 쵤영하여 컴퓨터로 재구성한 것, 이 방법으로뇌의 각 횡단면들의 생성한 영상을 얻을 수 있고, 연속적인 절단면을 조합하여 뇌 전체의 구조를 나타낼수 있어 병소부위를 찾는데 도움이 됨.


자기공명촬영(MRI)검사

뇌조직을 구성하는 특정원자가 방사하는 전자기 에너지를 측정하여 영상화한 것으로 보다 선명한 뇌 영상을 보여주며, 어떤 단면의 영상이라도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음.

필요에 따른 추가적인 검사 : 뇌혈관 조영술, 초음파검사,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 단일광자 전산화 단층촬영(SPECT)

 

뇌혈관 조영술

뇌혈관 조영술은 X선을 이용하여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경동맥과 척추동맥의 이상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로 일과성 허혈성 발작이나 뇌졸중 검사에 주로 사용됨.
국소마취상태에서 사타구니나 어깨에 가늘과 부드러운 카테터 (고무 또는 금속으로 된 가늘고 긴 관으로, 약이나 세정제 등을 넣을 때 사용된다.)를 동맥에 삽입해 목 동맥까지 찾아간 뒤, 조영제를 투입함. 이를 통해 혈류의 윤관을 볼 수 있음.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

국소 뇌조직이 경색에 빠지기 이전에 대사의 이상을 관찰하여 허혈상태 판정 및 기타 뇌조직의 기능적 영상을 얻을 수 있고, 수치화되므로 뇌조직의 
대사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최적의 장비임.

단일강자 전산화 단층촬영(SPECT)

국소 뇌조직의 정확한 대사율 등을 구하는데 제한이 있으나, 전반적인 뇌관류 상태를 파악하는 데에 도움을 줌. PET 대신으로 쓸 수 있음

뇌졸중으로 의식을 잃었을 때는 아무것도 먹여서는 안된다.

 

보통 물이나 우황청심환 등을 먹이시는데 절대 아무것도 먹여서는 안된다. 음식이 들어 갔을 때는 식도를 통해 위로 넘어가야 하는데, 뇌에서 반응을 안하기 때문에 이때는 폐로 음식물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혹시 토사물로 기도가 막힐 수 있으니, 얼굴을 옆으로 돌려놓으시고 119등을 통해 가능한 빨리 병원으로 옮기는 것이 필요하다.

뇌졸중 뇌경색 뇌출혈이 헷갈렸는데 이번 공부로 확실하게 알게되었다!
뇌도 역시 혈관질환과 관련있다
혈관 관리잘하자

반응형